1.1.4. API(소셜로그인/ 구글포토/ 인스타그램)
Q. 갤러리와 소셜 로그인을 만들면서 API와 관련된 부분을 많이 얘기했는데, 예전처럼 왜 사이트 내부에 기능들을 붙여서 만들지 않고 API라는 기능을 사용하나요? 단어도 어렵고, 기술적 개념도 어렵습니다.
웹 사이트에서 점점 하지 않는 행동들
1990년대와 2000년대를 지나면서 웹 사이트에서 사람들이 하지 않는 행동이 점점 많아집니다. 로그인과 회원가입을 하지 않습니다. 게시판을 열어놔도 글을 잘 적지 않습니다. 좋은 정보를 많이 올리고 제공하고 있는데도 사람들이 보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사진 게시판에 올리는 사진들을 잘 보지 않습니다. 사이트 운영자는 여러가지 페이지를 힘들게 작업했는데, 사람들이 의도한대로 행동하지 않습니다. API는 이렇게 귀찮아하며 잘 보지않는 사람들의 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소셜로그인 API
다들 아시겠지만, 웹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려면 이메일 적고, 이름 적고, 비밀번호도 2번이나 적고, 그 외의 정보들도 적어야합니다. 이렇게 번거로운 회원가입을 마쳐야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더 귀찮게 하는 행정 사이트에서는 공인인증서도 있어야 하고, 뭔가 설치도 하라고 요청합니다. 물론 앞의 절차가 반드시 필요한 사이트도 있겠지만, 그게 아닌 사이트에서는 이미 회원가입을 했던 페이스북, 트위터로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과 로그인시에 API를 사용하면,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OPEN API를 통해 "이 사람이 페이스북에 이미 가입했던 사람이 맞나요?"라고 물어보고, 이것이 확인되면 "우리 웹 사이트에서도 회원으로 가입시켜줄게, 로그인도 바로 할수 있게 해줄게" 라고 승인해 주는 절차입니다.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연관되는 게임에 쉽게 가입한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것도 카카오톡 API를 통해 확인을 거친 덕분입니다.
구글 포토 API -> 사진 갤러리
예전에는 비디오와 사진(홍보용, 고해상도)들을 사이트에 올려서 관리했습니다. 그런데 비디오와 사진 사이즈가 커지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용량이 크고 사진을 자주 올리는 그룹의 경우에는 이런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별도의 외부 서비스를 쓰는게 좋습니다. 외부의 서비스를 쓰고 API를 끌어오는 방식을 선택하면,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해당 서비스로 쉽게 업로드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지속적인 아카이브를 통해 자료를 쌓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구글 포토 API를 사용하면 해당 서비스에 올려놓은 사진에 대한 썸네일, 사진 제목, 사진 설명, 찍은 날짜 등의 정보들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사진 * 구글포토 : https://photos.google.com/ * 플리커 : https://www.flickr.com/ 영상 * 유투브 : http://youtube.com * 비메오 : https://vimeo.com/
인스타그램 API -> 사진 갤러리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에 자료를 올리는 이유는 관리의 측면을 벗어나 "확산" 이라는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홈페이지에 자료를 올리는 것보다는 검색엔진과 소셜미디어 채널을 활용하는 것이 컨텐츠가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1%라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관리와 확산이 용이하고, 검색엔진에서 잘 확인될 수 있는 매체에 사진들을 올려놓고, 웹사이트에 연결하여 갤러리의 사진들이 보여지도록 개발했습니다.
플러그인 활용하기
개발지식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API를 적용하는 것 조차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외부의 소셜미디어에서 정보를 끌어오는 것이 조금 더 쉬워집니다. 관리자 화면에서 플러그인-플러그인 추가하기를 클릭하여 다양한 플러그인들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같은 기능의 플러그인에도 많은 종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전에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해보고 비교해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플러그인을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웹사이트의 속도가 느려지므로 주의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