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고유주소 한글URL 적용
도메인 주소에서 co.kr 혹은 or.kr로 끝나는 메인URL 뒤에 붙는 주소를 '고유주소'라고 합니다.
고유주소를 한글로 적용하는 것과 고유주소를 숫자로 적용하는 방식 적용의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나, 사용자들이 많이 URL을 퍼가는 경우에는 숫자로 적용한 방식을 추천합니다.
고유주소를 한글로 적용한 예
고유주소를 한글로 설정하면 메인 URL 뒤에 한글로 표시된 주소가 붙습니다. 띄어쓰기가 되어 있는 음절 사이사이에는 -(하이픈)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또한 고유주소를 한글로 적용하도록 개발한 경우에는 글의 한글 제목이 '자동'으로 고유주소로 지정됩니다. 그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링크를 눌러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주소를 입력하는 브라우져 창에도 같은 고유주소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 www.kost.or.kr/울지마-톤즈-그-후-선물을-읽고
장점
- 검색엔진에서 한글 검색을 했을 때 상위에 노출되는 효과가 있다. (구글 검색 시)
- URL에 한글화 된 정보가 나타나므로, 내용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단점
링크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하는 경우에 한글 주소가 %%%를 포함한 글자체로 변경되서 노출된다.
상단에 한글 URL 예를 다른 창에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 예 :
- 소셜미디어(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 채널에 공개 했을 때 링크가 복잡하게 보여서 지저분하다.
고유주소를 숫자로 적용한 예
고유주소를 숫자로 적용하면 메인 URL의 뒤에 간략한 개발기호와 함께 숫자가 표시됩니다. 그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링크를 눌러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주소를 입력하는 브라우져 창에도 숫자로 된 고유주소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 http://www.thefirstmedia.net/ko/?p=15051
장점
- 외부에 링크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하는 경우 깔끔하게 붙여진다.
단점
- 도메인만 보고 어떤 정보인지 파악할 수는 없다.